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SH 청년안심주택 신청 방법, 자격 조건, 모집 공고 (청년, 신혼부부 주거 혜택)

by 도토리방구 2025. 4. 14.

서울에서 집 구하기, 정말 쉽지 않죠? 특히 청년이나 신혼부부라면 더더욱!

이런 분들을 위한 서울시의 특별한 주거 지원 정책, 바로 2025년 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주택 모집이 시작되었습니다.

 

서울시와 SH공사가 함께 제공하는 이번 사업은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 안정적인 거주 기간, 도심 입지 등 다양한 혜택을 담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신청 자격부터 꿀팁까지, 핵심만 쏙쏙 정리해 드릴게요.

 

청년안심주택 신청
청년안심주택 신청


청년안심주택이란?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월세 부담을 줄이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죠.

✔ 주요 혜택

  • 💸 시세 대비 30~50% 저렴한 임대료
  • 🏡 청년 최대 6년, 신혼부부 최대 10년 거주 가능
  • 🚉 서울 주요 지역에 위치한 우수한 교통 접근성
  • 🛏 원룸부터 투룸까지 다양한 주택 유형

청년안심주택 입주자모집 절차 및 일정
청년안심주택 입주자모집 절차 및 일정

 

 

청년안심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문은 아래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제1차청년안심주택-공고문(최종웹).pdf
0.72MB

 

 

[첨부] 청년안심주택 신청 관련 부모 범위 기준.pdf
0.04MB


신청 자격 요건 정리

1️⃣ 청년 계층 (만 19세~39세)

  • 무주택자
  •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20% 이하
  • 취업 준비생, 저소득층, 장애인 등 우선 선발 대상

2️⃣ 신혼부부

  • 결혼 7년 이내 무주택 부부
  • 부부 합산 소득이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의 140% 이하
  • 자녀 수와 무주택 기간에 따라 가점 부여

3️⃣ 소득 및 자산 요건

본인 및 부모 합산 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

  • 청년 최대 100%
  • 신혼부부는 최대 70%

 

기준중위소득 확인

 


임대 조건 및 주택 유형

구분 주택 형태 보증금 월 임대료 비고
청년 원룸형 1,000~3,000만 원 20~40만 원 관리비 별도
신혼부부 투룸형 단지별 상이 단지별 상이 2년마다 갱신 가능

 

계약은 2년 단위, 자격 유지 시 연장 가능
주택 관리비는 별도 부과

 

임대 기간은 아래 사진을 참고해 주세요.

 

청년 및 신혼부부 임대 기간청년 및 신혼부부 임대 기간
청년 및 신혼부부 임대 기간

공급 세대

총 공급 세대는 1,485세대이며 신규 공급과 재공급으로 구분됩니다.

  • 신규 공급: 1,356세대
  • 재공급: 129세대

공급 주택 정보는 아래 모집 공고문에서 확인하세요.

 

제1차청년안심주택-공고문(최종웹).pdf
0.72MB

임대료는 얼마나 저렴할까?

시세보다 최대 70% 저렴하며, 보증금 + 월세 형태로 신청자 순위에 따라 금액이 다릅니다.

 

예시) 강남구 도곡동 '더써밋타워' 18㎡형 (청년)

  •  A형 (1순위): 보증금 4,215만 원/ 월세 18.6만 원
  • B형 (2,3순위): 보증금 7,025만 원/월세 31만 원

 

예시) 노원구 '에드가 개봉' 16㎡형 (청년)

  • A형: 보증금 1,995만 원/월세 8.8만 원
  • B형: 보증금 3,325만 원/월세 14.7만 원

단지별 주택 정보는 청년안심주택 공식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https://soco.seoul.go.kr/youth/main/main.do

 

청년안심주택

서울시 청년, 신혼부부를 위해 역세권 및 간선도로변에 주변시세대비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합니다

soco.seoul.go.kr

 

신청 방법과 절차

청약 신청은 온라인 신청만 가능합니다.

  1. 온라인 신청: SH공사 홈페이지 접속
  2. 서류 제출: 소득증빙서, 주민등록등본 등
  3. 심사 및 당첨자 발표: 추첨제 또는 점수제
  4. 계약 체결: 일정 내 계약 진행
  5. 입주: 계약 완료 후 1~2개월 내 입주 가능

 

청년안심주택 청약 신청

 

제출 서류

  •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 재직, 재학, 졸업증명서 등 해당자 제출

 

셰어형 주택

혼자 살기에 부담이 된다면 2명이 1집을 공유하는 셰어형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2인 1팀 지원 가능 (형제, 자매, 지인 가능, 단 동성만 가능)
  • 각자 방을 쓰고, 거실, 주방, 화장실은 공동 사용
  • 1인 신청도 가능하지만 무작위 배정

※ 셰어형은 공실 발생 시 입주 대기자에게 순차 공급됨

 


청년안심주택 신청 꿀팁

  • 자격 조건 미리 점검: 소득, 자산, 무주택 여부 확인
  • 🗂 서류는 사전 준비 필수: 각종 증빙자료 미리 준비
  • 🏙 단지별 조건 비교: 위치, 교통, 평수 꼼꼼히 체크
  • 📆 마감일 절대 놓치지 않기: 신청 기한 확인은 기본!

주의사항

 

  • 입주 즉시 전입신고 필수, 동거인 등록은 제한돼요
  • 일부 주택은 구입 상태 그대로 재공급되므로 도배 등은 직접 확인 필요
  • 대출 제한 가능성 있음 (소유권 이전 지연 시)
  • 반려동물 허용, 단지 규칙 위반 시 퇴거 조치 가능
  • 주차는 우선순위제 (장애인, 자녀 있는 세대 우선)

 


결론: 청년·신혼부부라면 이번 기회 놓치지 마세요!

서울시 청년안심주택은 단순한 임대주택이 아닙니다.
청년과 신혼부부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자, 주거 안정의 디딤돌이 될 수 있습니다.

 

자격 요건이 충족된다면, 망설이지 말고 꼭 신청해 보세요!
주거비 부담은 줄이고, 생활의 질은 높아지는 경험을 하게 될 거예요.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2025년 다자녀 혜택 총정리, 2자녀도 받을 수 있는 혜택, 지원

 

2025년 다자녀 혜택 총정리, 2자녀도 받을 수 있는 혜택, 지원

2025년 다자녀 혜택 정리! 자녀 2명 이상 가구도 받을 수 있는 출산·주거·교육·세금 감면 정보와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zenith7103.co.kr